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typescript react
- github io
- Git
- git lab
- bootstrap
- next.js css
- API 토큰
- react typescript
- 컨디셔널 렌더링
- nextjs 설치
- input type=file
- CSS
- SCSS
- rewrites
- styled components
- dart 변수
- API token
- fetch
- There isn’t anything to compare
- ngrok실행
- github
- icon
- nextjs .env
- react
- ngrok설치
- nextjs
- react env
- npm styled-reset
- createGlobalStyle
- getModifierState
- Today
- Total
목록CSS/SCSS (9)
꾸준히 성장하는 개발자

SCSS에도 데이터 종류가 있다 $number: 1; //.5, 100px, 1em $string: bold; //relative, "../images/a.png" $color: red; //blue, #FFF00, rgba(0,0,0,.1) $boolean: true; //false $null: null; $list: orange, royalblue, yellow; //list데이터 : js의 배열데이터와 유사하다 $map: ( o:orange, r:royalblue, y:yellow ); //map데이터: js의 객체데이터와 비슷하다. 괄호는 소괄호를 사용한다. .box{ width:100px; color:red; position: relative; } 다른 데이터 종류와 다르게 색상데이터가 있다. ..
mix(색상1, 색상2) -> 색상1와 색상2의 색상이 섞인 색상이 나온다. lighten(특정색상, 10%) -> 특정색상이 %만큼 밝게 만들어준다. darken(특정색상, 10%) ->특정색상이 %만큼 어둡게 만들어준다. ---> button만들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. saturate(색상, 10%) -> 색상의 채도를 %만큼 올려준다. desaturate(색상, 10%) -> 색상의 채도를 %만큼 낮춰준다. grayscale(색상) -> 주어진 색상을 회색으로 만들어준다. invert(색상) -> 색상을 반전시키는 효과 rgba(색상, .5) -> 표준 css에서 제공하는 rgba(0,0,0, .5)과 다르게 SCSS에서 제공하는 rgba에서는 인수가 두개만 있으면 된다. 색상과 투명도 알파값..

함수를 사용해서 값을 얻어낼수 있다. @function ratio($size,$ratio){ @return $size * $ratio } 함수를 작성하는것은 JS와 매우 유사하다. 앞에 @가 들어간다는점, 변수는 '$변수'로 쓰는것 이 두가지만 주의하자

반복문을 통해 그 안에 있는 css를 반복하여 작성할 수 있다 주의할 점 숫자를 세는 게 제로베이스가 아닌 1부터 시작하여 진행된다. 변수를 활용하여 사용해보자 보간법을 사용하여 안에 데이터를 넣어줄 수 있다 평소에 JS에서 쓰는 보간법은 ${데이터} 이지만 SCSS에서는 #{데이터} 로 쓴다 값을 적는 부분에도 변수를 활용하여 값을 바꿀 수 있다. 선택자를 적는 부분은 값을 적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보간처리가 필요한 것

코드가 겹치는 것들이 있으면 이를 재활용할 수 있게 Mixins을 이용하면 된다. 변수랑 유사하지만 여러 가지의 스타일을 한 번에 담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선언은 아래 방식으로 해주고 @mixin 이름{ 재활용할 코드 } 사용하는 건 @include 이름 으로 불러온다 .box{ @include 이름; } 항상 같은 값만 사용하지 않고 값이 변할 수 있는데 이럴 때 인수를 사용하여 넣어줄 수 있다. 뒤에 javascript 함수처럼 @mixin box(변수)를 넣고 바뀌는 값에 변수로 넣어준다. @mixin box($size) { width:$size; height:$size; background-color:tomato; } 사용할 때는 위와 똑같이 @include로 불러와 뒤에 괄호를 넣고 넣을 ..

SCSS에서는 산술연산을 사용할수 있다. 하지만 /를 사용하는 나누기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span{ font-size:10px; line-height:10px; font-family:serif; font:10px / 10px serif; } 위처럼 css에서는 font라는 단축속성을 사용하는데 이때 분리해주기 위해 /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 사진처럼 작성했을때 그냥 글처럼 나오게 된다. 그럼 나누기 ( / )를 해야 할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? 그럴땐 1. 괄호를 쳐주는 방법 margin: (30px / 2); 2.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 $size:30px margin: $size / 2; 3. 다른 산술연산을 함께 사용하기 font-size: 10px + 20px / 2; 세가지 방법이 있다 주의할점! 산..

$변수: 값 ; SCSS에서 변수 선언은 const나 let이 아닌 $로 선언이 된다 그리고 그 값을 쓸곳에 $변수라고 작성해주면 된다. 예시) 주의할점!! 선언된 범위에서 유효범위를 가진다. 위 예시처럼 맨위에 영역밖에서 작성이 되면 전역변수이지만 아래처럼 작성하게 되면 .container에서만 사용가능한 유효범위가 생긴다. 상황에 따라 잘 선택해서 사용하자 또 이렇게 .item에 size값 다른값으로 바꾸게 되면 이걸 재할당의 개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200px이 되고 .item의 밖 , 그리고 아래에 left에 작성한 size값은 재할당된 200px이 되게 된다.